본문 바로가기
보조지표 공부

주식 보조지표 - MACD

by 궈녕 2022. 12. 20.
반응형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의 줄임말로 제럴드 아펠이 만든 기술적 분석 지표입니다. 주식의 이동평균선을 기반하여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을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의 상승과 하락 추세를 결정하는데 이용하는 보조지표입니다.

728x90

MACD 활용법

기본적으로 우리가 주식 프로그램으로 MACD를 설정하면 기본값으로 단기 이동평균선은 12일, 장기 이동평균선은 26일 그리고 시그널 선 9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MACD는 설정된 이동평균선들을 이용해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보다 '위쪽'에 위치하면 MACD 선은 양수가 되고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면 음수가 됩니다.

 

즉 단기가 장기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으면 주가는 상승추세라 볼 수 있고, 반대인 경우는 주가가 하락 추세라 볼 수 있습니다.

macd chart
나스닥 일봉차트와 MACD

위에는 최근 나스닥의 일봉 기준 차트입니다. 위에는 주가이며 아래는 MACD 보조지표입니다.

 

  • 사진의 첫 번째 파란색 세로선과 같이 9일 선으로 설정되어 있는 주황색의 시그널 선을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차이인 파란색 MACD 선이 상승 돌파하며 두 선이 확산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때 주가 또한 위, 아래로 흔들리는 모습은 나왔지만 결과적으로 다음 MACD 선이 다시 수렴하기 전까지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 사진의 두 번째 파란색 세로선과 같이 상승 이후 다시 시그널 선과 MACD 선이 수렴한 뒤 MACD 선시그널 선을 하락 돌파하며 두 선이 확산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때 주가 또한 가끔 반등이 나오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결국 다음 두 선이 수렴하기 전까진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물론 실제로 투자하다 보면 변수가 많습니다. MACD가 상승 돌파했다가 다음날 다시 하락하는 주가에 다시 하락 돌파하는 경우도 많이 보입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건 시그널 선을 MACD 선이 돌파한 후 두 선의 간격이 얼마나 벌어지는지를 보는 것입니다.

 

보통 MACD는 추세의 전환을 맞춘다기보다는 추세의 방향과 주가의 움직임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쓰입니다. 즉 단기 트레이딩을 하시는 분들보다는, 스윙 투자를 이용하시는 분들이 매수 시점과 매도 시점을 설정하는데 쓰기 좋습니다.

 

MACD 선이 처음으로 시그널 선을 상향 돌파한 뒤 지속적으로 시그널 선과의 간격을 벌리는 모습이 보이면 그때 매수하고 이후 MACD 선이 다시 하락 돌파할 때 분할매도 이후 시그널 선과의 간격이 벌어지면 전부 매도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흔히 횡보장이라 불리는 크게 오르지도 않고 내리지도 않는 증시에서는 지속적인 수렴과 작은 확산이 반복되며 오히려 투자에 혼선만 주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듯합니다.

 

결국 보조지표는 우리의 투자를 '보조'해주는 도구입니다. 수급과 호재나 악재를 이기는 보조지표는 없으니 맹신하지 마세요. 저는 맹신했다가 본 손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2022.11.28 - 주식 보조지표 - RSI

 

주식 보조지표 - RSI

RSI는 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 강도지수를 말하며 가격의 상승 압력과 하락 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냅니다. RSI는 일정 기간 동안 주가가 전일 가격 대비 주가의 상승 변화량과 하락 변화

callehero.tistory.com

 

728x90

'보조지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보조지표 - RSI  (0) 2022.11.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