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 시황요약

ISM 제조업 관련 지표 발표, JOLTs 지표 발표

by 궈녕 2023. 2. 2.
반응형

이번주에 가장 큰 이벤트이자 극한의 변동성을 가져다주는 지표 발표가 오늘부터 시작됩니다. 대부분의 지수는 약세를 보이며 시작됐지만,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 일 AMD의 실적발표 이후 다른 종목들과는 반대로 상승하며 강세를 보이는 중입니다.

2023.02.01 - 미국 고용 임금 발표, AMD 실적 발표

 

미국 고용 임금 발표, AMD 실적 발표

추가적인 조정이 예상되는 미국 증시의 시작이었습니다만 시장은 여전히 상승하고 싶은 욕망이 가득합니다. 다행히 여러 경기 지표가 선방해 주며 다우산업은 34,086.04(+1.09%), S&P 500은 4,076.60(+1.46

callehero.tistory.com

ISM 제조업 관련 지표 발표

  실제 예측 이전
ISM 제조업 구매자지수(1월) 47.4 48.0 48.4
ISM 제조업 고용지수(1월) 50.6 49.0 50.8
ISM 제조업 신규주문지수(1월) 42.5   45.1
ISM 제조업 물가지수(1월) 44.5 39.5 39.4

시장은 어떻게 받아드릴지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 상당히 암울한 지표라고 보입니다. ISM 제조업 구매자지수는 이전보다 하락했으며, 예측치를 하회하는 모습입니다.

 

특히 ISM 제조업 PMI가 50 이하에서는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최근 반등없이 꾸준한 하락세라서 우려스럽습니다. 더불어 제조업의 신규주문지수도 꾸준하게 하락하며 2023년 1분기 기업들의 실적도 좋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대로 고용지수는 예측치를 상회하며 다시 반등했으며, 물가지수도 급등하는 모습을 보이며 연준에서 전형적으로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주장 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고용은 튼튼하고 물가지수는 오르는 지표의 방향성이 좋아 보이지 않네요.

 

ism manufacturing pmi
ISM 제조업 지수 상세 정보

JOLTs (구인, 이직 보고서) 발표

  실제 예측 이전
JOLTs 구인, 이직 보고서 11.012M 10.250M 10.440M

JOLTs 보고서는 간단하게 말하자면 일자리를 측정하는 보고서입니다. 그리고 예측치를 한참 상회하며 여전히 강한 미국의 고용시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만약 주식 시장이 '경기침체'를 선반영하고 있다면 오히려 Good is Good으로 호재거리가 될 수도 있겠지만, 여전히 시장은 연준의 금리정책 피벗(PIVOT)과 올해 하반기 금리 인하의 가능성에 대해 반영하며 올라가고 있기에 악재로 받아들일 것입니다.

 

최근 원자재가격이 바닥을 찍고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고용 임금이 살짝 꺾인 모습이지만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 중입니다.

 

만약 인플레이션이 찐득하게 실물 경제에 들러붙는다면, 추가적인 금리 인상 스텝을 밟거나 시장의 기대와는 다르게 올해 지속적인 고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결국 중요한 건 잠시 후에 있을 금리 인상 이후 FOMC에서 제롬 파월 연준의장의 발언이 시장의 방향성을 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