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수당 청구 건수, 단위 노동비용 지표 발표
한동안 하락보다는 상승 가능성이 커 보이는 미국 증시입니다. 전 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입에서 소프트랜딩의 가능성이 언급되며 강세를 보이는 미국 증시는 메타(META)의 실적 미스에도 폭등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지수를 올리고 있습니다.
2023.02.02 - 미국 25BP 금리인상과 FOMC
미국 25BP 금리인상과 FOMC
드디어 올해 첫 금리 인상과 FOMC가 발표되었습니다. 금리는 시장의 예측대로 25BP가 발표되었습니다. 반도체는 전 일 AMD의 실적 이후 장초반부터 강한 모습이었지만 ISM 제조업 관련 지표의 영향
callehero.tistory.com
미국 주요 경제 지표 발표
- 실업수당 청구 건수 발표
실제 | 예측 | 이전 | |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건수 | 183K | 200K | 186K |
연속 실업수당 신청 건수 | 1,655K | 1,677K | 1,666K |
4주 평균 실업수당 신청 건수 | 191.75K | 197.50K |
미국 빅테크들과 대기업들이 코로나 호황기때 추가 고용했던 인원들이 금리 인상기에 비용 감소와 보수적인 회사 운영을 위해 대량 정리해고와 더불어서 고용동결을 발표하며 늘어나지 않을까 한 신규 실업 지표이지만 여전히 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신규 실업 관련 지표입니다.
특히 최근 꾸준하게 하락세를 보여주며, 오히려 코로나 전보다 더 강한 노동 시장을 보여주고있습니다.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건수는 예측치인 200K보다 낮은 183K로 발표됐으며, 연속 실업수당 신청 건수도 예측치를 하회하는 모습입니다.
- 비농업 부문 생산성(4분기) 지표 발표
실제 | 예측 | 이전 |
3.0% | 2.4% | 1.4% |
여전히 낮은 비농업 부문 생산성이지만 다시 반등해 주는 모습을 보여주며 시장의 해석에 따라 '최악은 지나갔다'라고 판단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특히 기업들의 실적이 올해 동안 반등해주지 못한다면 역실 적 장세로 하반기 증시의 상황이 순탄치 않아 보였는데 예측치를 상회하며 생산성이 증가해 주는 모습이네요.
- 단위노동비용 (QoQ) 지표 발표
실제 | 예측 | 이전 |
1.1% | 1.5% | 2.0% |
생산성은 늘었는데 노동 비용은 줄었다니, 시장의 기대처럼 소프트랜딩이 가능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는 최근 지표들입니다. 금리를 인상했음에도 버텨주는 실물 경제와 꾸준하게 내려오는 인플레이션 지표 그리고 바닥을 찍었다고 판단하는 기업들의 실적까지, 괜히 증시가 강하게 반등하는 게 아닙니다.
오늘 시장은 다우산업과 S&P 500보다 하락폭이 컸던 나스닥을 위주로 상승이 나와주고 있습니다. 특히 공매도의 먹잇감이 됐던 중소형 주들이 돌아가며 급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네요.
다들 불반등장에 수익 챙기고 나오시기를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