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시황요약

개인 소비지출 물가지수(PCE) 발표

궈녕 2023. 4. 1. 01:08
반응형

3월에 마지막 날입니다. 중소형 은행들의 위기로 흔들렸던 3월 미국 증시는 정부의 지원책으로 발 빠르게 대응하며 빅테크와 반도체들을 중심으로 안도랠리가 나오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시간이 갈수록 은행들의 문제로 인한 '리먼사태'를 걱정하던 시장은 다시 인플레이션과 미국 연준의 금리 정책으로 다시 눈을 돌리는 분위기입니다.

2023.03.23 - 미국 기준 금리 25BP 인상과 FOMC

 

미국 기준 금리 25BP 인상과 FOMC

드디어 증시의 방향성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미국 기준 금리 인상이 발표되었습니다. 발표 전 시장이 예상하는 금리 인상은 25BP로, 예측과 다르게 금리 동결이나 50BP 인상이 나온다면 주가 하

callehero.tistory.com

PCE 발표

  실제 예상 이전
PCE (YoY) 5.0% 5.1% 5.3%
PCE (MoM) 0.3% 0.5% 0.6%
Core PCE (YoY) 4.6% 4.7% 4.7%
Core PCE (MoM) 0.3% 0.4% 0.5%

개인 소비지출 물가지수가 예상치를 전부 하회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증시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YoY 기준 PCE는 예상치를 하회하는 5%, 근원 PCE는 예상치를 하회하는 4.6%가 발표되며 모두 이전 수치보다 하락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MoM 기준 PCE와 근원 PCE는 모두 0.3%로 발표되며 예상치를 하회했으며, 이전보다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728x90

 

다만 우려스러운 부분은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의 하락폭이 둔화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작년에 인플레이션이 급등한 가장 큰 이유는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와 곡몰가격의 폭등이었습니다.

 

하지만 올해부터 천연가스와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와 식품들의 가격이 어느정도 완화되었음에도 지표의 하락폭이 증가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작년에 문제가 되었던 원자재와 식품들의 가격이 아닌 다른 부분의 물가가 여전히 저항 중이며 연준이 목표했던 목표 인플레이션을 달성하기에는 갈 길이 멀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 미시간 소비자 기대지수

consumer sentiment
미시간대 소비자 관련 지수

미시간 5년 인플레이션 예상은 이전과 같은 수치인 2.9%로 발표되었으며, 소비자 심리지수는 중소형 은행의 문제로 인한 경기침체의 우려를 벗어난 지금에서 시장은 오히려 호재로 받아드릴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