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시황요약

비농업 고용지수,실업률, ISM 비제조업 관련 지표 발표

궈녕 2023. 2. 4. 02:21
반응형

물가는 떨어지는데 경기는 여전히 좋은 모습을 나타내는 지표가 나오며 하락시작했던 미국 증시는 반등해 주는 모습입니다.

 

전 일 최근 상승에 대한 눌림과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쇼크로 하락세를 보였지만, 오늘 애플(APPL)의 중국 판매량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매수에 들어오며 4%대 상승을 보여주며 증시를 견인하는 모습입니다.

비농업 고용지수

비농업 고용지수는 농축산업을 제외한 전월 고용인구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경제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자리 지표라서 소비자 지출의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

실제 예상 이전
517K 185K 260K

믿기 힘들정도로 고용지수가 올라오는 모습입니다. 예상치인 185K의 3배 가까이되는 517K가 나오며 다시 고용시작이 시작되는 모습입니다.

 

긍정적으로는 세부 발표로는 파트타임 관련 고용은 늘어나지 않았으며 레저와 hospitality 관련 고용이 128,000개가 늘어났습니다. 코로나가 끝나가며 다시 여행 관련 업종이 회복하려는 모습이네요.

 

프로페셔널 및 비지니스 서비스 부분의 고용은 8만 2천 명이 증가하며 최근 정리해고되었던 인원들이 바로 재취업을 했는지 늘어난 모습입니다.

 

의료 관련 고용은 58,000개의 일자리를 늘렸고 우려와는 다르게 제조업 관련 고용은 33,000개의 일자리를, 건설 관련 고용은 25,000개의 일자리를 늘리며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 민간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실제 예상 이전
443K 190K 269K
  • 실업률 (1월)
실제 예상 이전
3.4% 3.6% 3.5%

여행 관련 업종이 다시 살아나고 서비스 관련 (저임금 직종)의 고용이 늘어나며 실업률도 예상치인 3.6%보다 0.2% 줄은 3.4%로 발표되었습니다. 저임금 직종의 증가는 추가적인 금리 인상의 기조보다는 인플레이션 데이터를 보며 금리를 길게 유지할 가능성이 커 보이네요.

ISM 비제조업 관련 지표

  실제 예상 이전
ISM 비제조업 구매자 지수 55.2 50.4 49.2
ISM 비제조업 고용 지수 50.0   49.4
ISM 비제조업 물가 지수 67.8   68.1
ISM 비제조업 신규수주 지수 60.4   45.2
ISM 비제조업 기업활동 지수 60.4 54.5 53.5

비제조업 구매자 지수가 경기침체를 반영하는 50 이하에서 다시 반등해 주는 모습입니다. 고용도 소폭 올랐으며 신규수주도 올라오며 경제의 회복을 보여줍니다.

 

다행히 물가는 소폭 하락하며 시장이 기대하는 소프트랜딩의 가능성을 높이는 경제는 튼튼, 물가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네요.

ism service pmi
ISM 비제조업 PMI 차트

728x90

어제 장마감 이후 시작된 증시 하락폭을 대부분 되돌려 놓은 미국 증시입니다. 대부분 저항선 부근에서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이점으로는 금 가격의 하락과 더불어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는 모습이네요. 최근 이머징 마켓인 아시아 증시도 조정이 나오는 모습입니다.

 

수많은 경제 지표로 다산 다난했던 2월 첫째 주도 끝이 났습니다. 다들 편안한 주말 보내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