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 시황요약

제조업, 서비스 구매자 관리지수 (PMI)

by 궈녕 2023. 3. 25.
반응형

FOMC 이후 변동성이 커지는 미국 증시입니다. 어제는 옐런 재무장관의 등장을 앞두고 2~3%대로 상승했던 증시가 모두 보합권까지 갔다가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며 시장이 정상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2023.03.23 - 미국 기준 금리 25BP 인상과 FOMC

 

미국 기준 금리 25BP 인상과 FOMC

드디어 증시의 방향성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미국 기준 금리 인상이 발표되었습니다. 발표 전 시장이 예상하는 금리 인상은 25BP로, 예측과 다르게 금리 동결이나 50BP 인상이 나온다면 주가 하

callehero.tistory.com

구매자 관리지수

  실제 예상 이전
제조업 PMI 49.3 47.0 47.3
마킷 종합 PMI 53.3 47.5 50.1
서비스 종합 PMI 53.8 50.5 50.6

제조업 구매자 관리지수(PMI)는 제조업 관련 직종의 활동 수준을 측정합니다. 50 이상의 경우에는 경기 회복 구간을 50 이하에서는 경기침체를 나타내는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50 이하지만 다행히 예상치를 상회하는 49.3으로 발표되며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를 약간 줄여나가는 모습입니다.

 

다만 연준에서 중요하게 보고있는 서비스 구매자 관리지수가 높은 것은 증시에 악재로 보입니다. 제조업 PMI와는 다르게 서비스 PMI가 반등하는 건 이번 FOMC에서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시사한 FED의 발언에 힘을 실어준다고 보입니다.

728x90

여전히 남은 은행 리스크

deutsche bank news
도이치뱅크 뉴스

장초반 증시의 방향성을 아래로 만든 도이치뱅크 이슈입니다. 작년부터 시작된 금리 인상과 더불어서 미국의 유동성 회수를 위한 긴축정책이 진행되며 그동안 잘 버틴다고 생각했던 실물경제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지속적으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크레딧스위스(CS)를 필두로 미국의 중소형은행들의 현금유동성 문제와 뱅크런 이슈 그리고 이번에는 독일의 대형은행인 도이치뱅크(DB)가 파산 가능성이 나오며 시장이 공포감으로 물들고 있습니다.

 

도이치뱅크(DB)는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부도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가 돌며 최근 신용파산스왑(CDS, Credit Default Swap)이 폭등하며 2019년 이후 최고치를 달성했습니다.

 

미국에서는 모든 정부 인사들이 나와서 미국의 은행은 "시스템 문제가 없으며, 지원 정책이 준비되어 있다"라는 이야기를 꾸준하게 하고 있지만, 계속해서 나오는 유럽국가의 은행 문제들에 안심할 수 없는 투자자들입니다.

 

자고 일어나면 항상 새로운 위기가 발생하는 2023년이 놀랍기만 합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