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한 변동성에 주의하세요(CPI, FOMC)
저번 주 PPI 발표 이후 큰 변동성을 보여준 미국 증시입니다. 장 중 계속해서 내렸다 올렸다 하며 버텨주나 했지만, 장 마감을 한 시간 남기고 이번 주에 있을 CPI와 FOMC에 대한 우려에 따른 매도 물량이 나오며 하락하는 모습이었습니다. 금요일 다우산업은 33,476.46(-0.9%), S&P500 3,934.38(-0.73%), 나스닥종합 지수는 11,004.62(-0.7%)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이번 주 미국 증시 일정
올해 마지막 달의 증시 흐름을 결정하는 일정이 몰려있는 이번 주입니다.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 12월 13일, 22시 30분(한국시간)
- 미국 금리 발표 및 FOMC : 12월 15일, 04시 00분 (한국시간)
2022년 우리를 괴롭혔던 인플레이션 지표와 2023년의 금리 인상의 흐름을 예상해 볼 수 있는 마지막 미국 중앙은행의 등장이 있습니다. 지금 모든 주식 시장의 투자자들의 이목이 쏠려있기에 이번 주는 큰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타이트 한 CPI 예측치
예측 | 전 월 | |
CPI(YoY) | 7.3% | 7.7% |
CPI(MoM) | 0.3% | 0.4% |
Core CPI(YoY) | 6.1% | 6.3% |
Core CPI(MoM) | 0.3% | 0.3% |
이번 CPI 예측치는 YoY 기준 저번보다 0.4% 하락하는 예측치를 보여줬으며 Core CPI 예측치는 0.2%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며 생각보다 타이트 한 가이던스를 발표했습니다.
긍정적인 부분으로는 계속해서 강세를 보였던 에너지들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인플레이션 지표가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100이 넘었던 원유의 가격이 $80 밑으로 내려오며 진정되는 모습입니다. 또한 중고차와 의류의 가격들도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이번 PPI에서 볼 수 있듯이 식품과 관련된 인플레이션 지표가 크게 상승했고 렌트비와 핵심 서비스 부문은 꾸준하게 상승을 보여주며 마냥 긍정적으로만 볼 수 없습니다.
- 50BP 금리 인상을 예측하는 시장
지금 미국 기준금리는 4.00% 입니다. 시장은 이번 금리 인상 때 0.5% 상승을 예상을 선반 영하고 있으며 이후 50BP와 25BP가 더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며 최종 기준 금리가 5.00% ~ 5.50% 사이에 머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결국 CPI 지표가 예측치에 근접하게 나와주고, 이후 금리 인상 속도 완화와 관련된 뚜렷한 연준의 모습과 향후 목표 금리의 상단에 대한 우려에서 벗어나야 강하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줄 듯합니다.
12월, 이번 겨울의 온도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입에 달려있네요.
이번 주 한국 증시
한국 증시도 코스피 2,400를 기준으로 근처에서 위와 아래로 횡보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12월 한국 증시에도 산타랠리를 기대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한국 증시는 대주주 세금 회피와 더불어 수익 실현을 위한 매도 물량으로 보통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또 한 가장 큰 문제점이자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을 야기하는 '금투세' 정책의 실행의 결과에 따라 방향성이 정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 여야에서 계속 유예와 실행의 사이에서 소음만 들려옵니다. 한국 증시를 하시는 분들은 계속해서 '금투세'와 관련된 뉴스를 유의 깊게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다행히 최근 중국의 '제로 코로나'정책의 완화로 인하여 리오프닝과 화장품 그리고 중국 관련 주식들이 바닥권에서 반등해주며 수급이 모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달러 또한 1,300~1,320원 사이에서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주며 외국인들의 매수세를 기대해봅니다.
주린이에게 극도록 어려운 12월입니다. 지표가 좋게나와도 나쁘게 나와도 결국 시장이 올리고 싶으면 올라가고 내리고 싶으면 내려가는 모습입니다. 한번 삐끗하면 손해가 커지고, 손해가 더 커지기 전에 손절하면 다시 반등하는 증시에 점점 매수 버튼에 손가락을 올리는 게 두려워집니다.
역사가 말해주듯 결국 살아남는 사람이 돈을 벌고, 살아남는 기업이 돈을 벌어다 줍니다. 잘 보고 잘 판단하고 잘 투자해서 부디 살아남는 투자자가 되기를 바래봅니다.
2022.12.10 -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흔들리는 미국 증시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흔들리는 미국 증시
2022년 마지막 달에 남아있는 가장 큰 3개의 이벤트 중 하나인 미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장전에 발표됐습니다. 예상치보다 높게 나오는 모습에 하락 출발했지만, 증시는 위와 아래를 반복하
callehero.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