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별 수익정리

2월 주식 실현손익, 3월 시나리오

궈녕 2023. 3. 1. 12:03
반응형

1월의 상승탄력을 받으며 2월도 상승흐름을 이어가나 싶었지만, 인플레이션 지표의 재상승으로 인한 기준 금리 상단이 더 높아질 수 있다는 불확실성으로 박스권 하단까지 밀리며 마무리된 미국 증시입니다.

2023.02.14 - 미국 CPI(소비자 물가 지수) 발표

 

미국 CPI(소비자 물가 지수) 발표

한동안 희망회로와 올해 금리 동결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했던 미국 증시입니다. 하지만 CPI 지표가 예상치를 상회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기대감에 상승하던 증시에 찬물을 끼얹으며 상승동력

callehero.tistory.com

2023.02.17 - 생산자 물가지수(PPI) 발표

 

생산자 물가지수(PPI) 발표

노랜딩(NO-LANDING)과 골디락스를 외치며 기대감으로 상승하던 미국 증시가 오늘 생산자 물가지수와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건수 지표 발표 이후 장 전부터 하락하며 제동이 걸리는 모습입니다. 2023.02

callehero.tistory.com

한국 증시도 코스피와 코스닥은 일부 조정을 보였지만, 일부 섹터와 테마주들이 순환매가 들어오며 지수 추종보다는 이차전지나 반도체 소부장, 리튬 관련 종목, 해운, 건설기계 그리고 AI Chat 관련 주식을 들고 있던 분들은 지수를 압도하는 수익률을 보여준 2월이었습니다.

2월 주식 실현손익

  단기 스윙(한국) 중기 스윙(한국) ISA 계좌 미국 주식(원화)
2월 190,655원 1,641,659원 243,650원 3,260,556원

2월은 단기 스윙 계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수익으로 마무리했습니다. 또한 1,240원에 매수했던 $4000를 1,316원에 매도하며 추가적으로 소소한 수익을 챙겼습니다.

 

2월 한 달 약 500만 원 가까이 되는 실현손익을 만들며 나름 만족스러운 계좌상태였습니다. 특히 장기간 보유 중이던 미국 주식 종목이 실적 서프라이즈가 나오며 계좌에 빨간불이 들어와 즐겁게 2월을 마무리합니다.

 

다만 단기 스윙 혹은 단타를 위주로 하는 계좌에서는 지속적으로 같은 습관이 반복되며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급등하는 주식에 순간적으로 올라타는 버릇 그리고 손실률보다 수익률을 짧게 가져가며 승률이 반반이어도 손해가 커져가는 구조는 3월에도 계속해서 고쳐가야 하는 나쁜 습관입니다.

728x90

3월 시나리오

증시는 다시 변동성이 커지며 박스권 하단에서 위와 아래로 크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작년 하반기와 1월까지만 해도 지수 추종 3배 레버리지로 도박성이 강한 배팅을 하다가, 최근에는 개별주 위주로 트레이드나 단기 스윙으로 방법을 바꿨습니다.

 

특히 증시의 변동성이 너무 커지며, 양방향으로 수익을 낼 수도 있겠지만 제 실력으로는 승률이 상당히 낮으며 멘털 관리도 어렵고 테슬라(TSLA)나 엔비디아(NVDA)와 같이 개별주들의 퍼포먼스가 좋은 경우가 많아서 3월에도 계속해서 개별주 스윙 위주로 이어나갈 생각입니다.

  • 3월, 한국 증시는 최대한 보수적으로 투자할 계획입니다.

won dollar exchange rate
원/달러 환율

1,200원대 초반까지 떨어졌던 원/달러 환율은 우리나라의 금리 동결과, 미국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으로 인해 최근 급등하며 1,320원을 넘으며 한국 증시에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이야 일부 주도주들이 상승을 이어나가며 지수의 하단을 받쳐준 느낌이지만 중국 증시의 하락세와 원/달러 환율의 급등으로 우리나라 증시의 분위기가 좋지 않게 변해가는 게 느껴집니다.

 

만약 원/달러 환율이 1,380원 ~ 1,420원 사이까지 올라오면 들고 있는 달러 일부분을 매도하여 원화 보유량을 늘릴 계획입니다.

  • 채권 관련 ETF를 매수할 계획입니다.

us goverments bonds
미국 국채 수익률

기준 금리 상단이 기존 5.00~5.25에서 5.25~5.75까지 늘어나며 재급등하는 미국 국채 수익률입니다. ISA 계좌에 담아두었던 고배당 개별주들은 일단 정리했으며 'KODEX 미국채울트라 30년 선물(H)' 상품을 분할매수에 들어갔습니다.

 

개인적으로 5.5%를 기준 금리 상단이라 보고 있으며, 채권 10년물 수익률 기준 4.1%~4.3%대에서 추가적인 매수를 생각 중입니다. 만약 예상치보다 높은 기준 금리(5.75%~6.00%)가 단행된다면 그때는 미국 계좌에서 TMF 분할매수로 진입할 예정입니다.

  • FXI 분할매수에 들어갔습니다.

매년 3월이면 양회라는 중국의 가장 큰 경제적 이벤트가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양회에서 경기 부양책과 여러 정책들이 나오며 기대감에 상승하는 경우가 많아서 홍콩에 상장된 중국 대형주 50개의 주가를 추종하는 FXI를 단기적인 반등을 노리고 분할매수에 들어갔습니다.


kospi chart
코스피 일봉 차트

만약 3월에도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환율과 실물경제의 악화에 대한 우려로 하락이 온다면 코스피 기준 바닥권을 2,250~2,280 사이로 생각하고 분할매수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미국 증시는 이번 지지선에서 향후 증시의 방향성이 정해지면 결정할 생각입니다.

 

개인적으로 올해에는 흔히들 이야기하는 주가의 '찐 바닥'이 나올 것 같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특히 금리 인상기에는 주가의 하락보다는 상승했던 횟수가 높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채권과 주가가 다시 디커플링 되며,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자산을 옮기는 모습이 보이기 시작해야 바닥을 확인하러 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물론 생각보다 미국 경제가 튼튼해서 '소프트랜딩'의 의견도 보이지만, 확률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가능성이 없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다만 소프트랜딩이 되어가는 모습을 보고 나서 뒤늦게 투자해도 충분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