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 시황요약

생산자 물가지수(PPI) 발표

by 궈녕 2023. 2. 17.
반응형

노랜딩(NO-LANDING)과 골디락스를 외치며 기대감으로 상승하던 미국 증시가 오늘 생산자 물가지수와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건수 지표 발표 이후 장 전부터 하락하며 제동이 걸리는 모습입니다.

2023.02.14 - 미국 CPI(소비자 물가 지수) 발표

 

미국 CPI(소비자 물가 지수) 발표

한동안 희망회로와 올해 금리 동결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했던 미국 증시입니다. 하지만 CPI 지표가 예상치를 상회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기대감에 상승하던 증시에 찬물을 끼얹으며 상승동력

callehero.tistory.com

이미 소비자 물가지수(CPI)로 인플레이션의 끈적함을 느낀 시장은 생산자 물가지수(PPI)도 다시 재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끝나지않은 인플레이션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연준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생산자 물가지수(PPI) 지표

  실제 예측 이전
생산자 물가지수(YoY) 6.0% 5.4% 6.5%
생산자 물가지수(MoM) 0.7% 0.4% -0.2%
근원 생산자 물가지수(YoY) 5.4% 4.9% 5.8%
근원 생산자 물가지수(MoM) 0.5% 0.3% 0.3%

생산자 물가지수(PPI) 대부분의 지표가 재반등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지표 발표였습니다. 전월대비 큰 폭으로 상승하기 시작한 생산자 물가지수는 이전보다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끝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세부항복으로 여전히 높은 서비스 부분 그리고 에너지 부분이 다시 재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번 생산자 물가지수(PPI)의 반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여집니다.

  • 필라델피아 경제지표

philly fed economic
필라델피아 연준 경제 지표

생산자 물가지수는 증가하는데 제조업 활동지수는 큰 폭으로 하락하고 신규주문이 더 줄어드는 모습이 잘못하면 경제침체와 금리 인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 인플레이션의 모습이 살짝 보이는 오늘의 지표입니다.

  • 신규 실업 수당 청구건수
  실제 예측 이전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건수 194K 200K 195K
4주 평균 실업수당 신청 건수 189.50K   189.00K

이게 맞나 싶을 정도로 강한 미국의 고용시장입니다. 오히려 전 주보다 줄어들며 예측치인 200K보다 적은 194K로 발표되었습니다.

 

모든 지표가 연준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의 가능성을 높였으며, 이미 채권과 외환시장을 이를 반영하며 움직이는 모습입니다. 채권은 10년물 금리 기준 3.85%까지 상승했으며, 원달러환율은 1,200원 초에서 1,300 부근까지 올라왔습니다.

 

하지만 증시는 모든 걸 무시하듯이 상승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도 하락으로 출발했던 미국 증시는 아래에서 다시 말아 올리는 모습을 보여주며 저와 같이 하락을 보던 분들은 할 수 있는 게 욕뿐이네요.

 

다행히 숏에 배팅하지 않고 현금비중만 높여놨는데, 슬슬 매수하고 싶다는 충동이 드는 걸 보니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