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 시황요약

다시 시작된 금리인상에 대한 압박

by 궈녕 2023. 2. 17.
반응형

최근 미국 인플레이션 관련 지표들이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당장 반등하며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추세를 그린다고는 보기 확정하기 어렵지만,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고용시장은 튼튼한 상태의 미국 경제에서 연준은 올해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할 수 있는 근거가 생기는 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특히 저번 FOMC에서 제롬 파월 연준의장은 데이터에 따라서 추가적인 금리 정책을 결정한다고 말하며 당시에는 호재성 발언으로 받아드린 시장이지만, 이후 고용지표와 CPI 그리고 어제 발표한 PPI 지표까지 연준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의 가능성을 내포하며 증시에 하방 압력을 계속해서 주는 모습입니다.

2023.02.17 - 생산자 물가지수(PPI) 발표

 

생산자 물가지수(PPI) 발표

노랜딩(NO-LANDING)과 골디락스를 외치며 기대감으로 상승하던 미국 증시가 오늘 생산자 물가지수와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건수 지표 발표 이후 장 전부터 하락하며 제동이 걸리는 모습입니다. 2023.02

callehero.tistory.com

s&p 500 chart
S&P 500 일봉차트

박스권 상단을 뚫어주려는 모습은 계속해서 보여주지만, 결국 상단 부근에서 매도물량이 나오고있으며 날이 갈수록 고점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보조지표상 하락 시그널을 보이기 시작하며 불안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만약 거래량이 붙으며 20일선을 뚫고 내려오면 큰 조정이 올것으로 보이는 차트입니다. 추세가 변하는 순간이라고 보이겠네요.

us government bonds
미국 국채수익률

역대급으로 많은 개인 투자자들의 채권 매수가 이어지며 수익률이 3% 중반대까지 갔던 미국 국채 수익률입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연준 의원들의 매파적인 발언과, 추가적인 금리 인상에 대한 가능성이 높아지며 다시 미국 국채 10년물 기준으로 4%대의 수익률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exchange rate won dollar
원/달러 환율

이미 채권 시장과 외환 시장은 예상치보다 높은 금리 인상을 예상하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가계 부채가 많아 튼튼한 경제 속에서 금리 인상을 지속하는 미국을 따라가기 힘들기에 작년과 비슷하게 급등하는 원달러 환율이 나올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우리나라 무역 수지는 역대급 적자를 보고 있으며, 부동산 시장에는 거품이 빠지며 하락세로 진입했습니다. 다만 증시는 아직까지 버텨주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게 참 아이러니 합니다.

 

여전히 저는 현금 비중을 늘리고 기회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