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증시4

조용하게 상승한 미국 증시 전 일 미국 증시는 원자재를 포함한 모든 섹터에 골고루 매수가 들어오며, 다우산업 지수 34,098.10(+1.18%), S&P 500 4003.58(+1.36%), 나스닥 종합 지수 11,174.41(+1.36%)로 상승 마감했습니다. 추수감사절을 앞둔 미국 증시 이번 주 목요일(미국시간)은 미국의 추석인 추수감사절입니다. 우리나라의 추석과 마찬가지로 휴장을 하는 미국 증시라서 그런지 미리 수익실현 해둔 투자자나, 관망중인 투자자들이 늘어난 모습입니다. 특히 오늘은 거래량이 상당히 저조했습니다만 조용히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원자재와 반도체 관련 주식들의 강세 한동안 계속해서 하락하던 Wit유와 천연가스의 가격이 반등해주며, 관련 주식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전 일 사우디아라비아가 원유증산은 사실무관이.. 2022. 11. 23.
호재와 함께 시작한 미국 증시 이쯤이면 그만 한 번쯤 눌렀다 가야 하는 거 아니야?라는 의문이 드는, 최근 급격한 상승을 보이는 미국 증시입니다. 어제 미국 증시는 장 전 PPI(미국 생산자 물가지수) 발표가 예상치에 하회하며 강세를 보이며 출발한 미국 증시는 다우 종합지수 33,594.17(+0.17%), S&P 500 3,991.73(+0.87%), 나스닥 종합 지수 11,358.41(+1.45%)로 상승 마감했습니다. 점점 커지는 연준(FED)의 피벗(PIVOT) 가능성 지난 CPI(소비자 물가 지수) 발표 이후 오늘 장 전 PPI(미국 생산자 물가지수) 발표가 있었습니다. PPI(YoY) 실제 예측 8.0% 8.3% PPI(MoM) 0.2% 0.4% Core PPI(YoY) 6.7% 7.2% Core PPI(MoM) 0.0% .. 2022. 11. 16.
미국 증시, 잠시 멈춤 저번주 급격하게 올라온 미국 증시는 다우산업 지수 33,536.70(-0.63%), S&P 500 3,957.25(-0.89%), 나스닥종합 지수 11,196.22 (-1.12%)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장 중 꾸준하게 지켜주 던 보합권이 장 막판 매도물량이 쏟아지며 그 동안 달렸던 미국 증시는 잠시 쉬어가는 모습입니다. 스탠스가 변화한 연준(FED) 오늘 장 초반 연준 부의장인 라엘 브레이너드의 금리인상에 관한 연설이 있었습니다. "최근 인플레이션 데이터가 물가 압력이 더 이상 확대되지 않으며, 곧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더 신중한 속도로 금리 인상을 진행하며 더 많은 데이터를 살펴보며 대응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비둘기 파인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 입니다. 이번주 .. 2022. 11. 15.
급락하는 미국 증시, 버티는 한국 증시 FOMC 이후 주식 시장의 금리인상 피벗(PIVOT)에 대한 기대감을 박살 낸 연준 의장 파월의 연설 이후 미국 증시는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실적시즌에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기술주와 빅 테크들이 큰 하락폭을 보여주며 장을 마감했다. 전 저점까지 한 발자국 남은 나스닥종합 지수 전 일 나스닥 종합지수는 10,342.94(-1.73%)로 마무리하며 전저점인 10,088.83까지 얼마 남지 않은 모습이다. 이번 실적시즌에 애플(APPL)을 제외한 대부분의 빅 테크는 어닝쇼크가 나며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고 전체적으로 미국 증시가 단기적인 반등을 보여줄 때도 상승세가 가장 약한 모습을 보이며 지금 당장 투자하기에는 꺼려지는 모습이다. 버텨주는 한국 증시 FOMC 다음 날, 장 전 한국 증시는 .. 2022.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