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 시황요약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PPI, 4월) 발표

by 궈녕 2023. 5. 12.
반응형

빅테크들에 수급이 몰리며 억지로 버티는 모습을 보이는 미국 증시입니다. 다만 반도체와 러셀에 편입되어 있는 중소형 주식들은 여전히 약세의 모습을 보이며 비대칭적인 수급이 계속되어 갑니다.

 

전일 CPI의 발표 이후 여전히 박스권에 갇혀있던 미국 증시는 당일 PPI 발표 이후에도 큰 변동성을 보여주지 않네요.

2023.05.10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CPI, 4월) 발표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CPI, 4월) 발표

최근 FOMC에서 여전히 금리 인상에 대한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 연준의 발언으로 이번주 인플레이션 관련 지표들로 시장의 관심이 쏠려있는 모습이었습니다. 2023.04.13 -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CP

callehero.tistory.com

  • 생산자 물가지수 (PPI)
  실제 예상 이전
PPI (YoY) 2.3% 2.4% 2.7%
PPI (MoM) 0.2% 0.3% -0.4%
Core PPI (YoY) 3.2% 3.3% 3.4%
Core PPI (MoM) 0.2% 0.2% 0.0%

생산자 물가지수는 잘 나왔습니다. PPI는 YoY 기준 예상치보다 0.1% 낮은 2.3%, MoM은 예상치인 0.3%보다 낮은 0.2%로 발표되었습니다.  근원 PPI는 YoY 기준 예상치인 3.3%보다 낮은 3.2%, MoM는 예상치에 부합하며 선방하는 모습입니다.

 

CPI와 마찬가지로 에너지가격이 전월 -6.0%에서 +0.8%로 크게 상승하며 전체적인 물가의 하락을 막은 모습입니다. 다만 원자재들이 침체에 대한 우려로 급락했다가 다시 회복하며 생긴 괴리감으로 추세적인 상승이라고 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728x90
  • 신규 실업수당청구 건수
실제 예상 이전
264K 245K 242K

계속해서 하락세를 보이던 실업수당청구 건수가 큰 폭으로 반등했습니다. 예상치인 245K보다 높은 264K가 나오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호재보다는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로 증시의 상승이 막혀있는 모습입니다.

 

경기침체의 마지막 스텝은 고용 시장의 붕괴입니다. 다만 여전히 침체를 받아들이기에는 낮은 실업률이기 때문에 당장의 폭락을 바라보기에는 이른 시점으로 보입니다.

  • FED watch

fed watch
12월 금리 예측

시장은 PPI 발표 이후 12월에 기준 금리 중간값인 4.75를 예상하며, 올해 금리 인하의 가능성을 점치고 있습니다. 4.50~4.75 예측치는 전날대비 15.3% 하락했으며, 4.75~5.00 예측치는 전날대비 22.6% 상승했습니다.

 

반등하기 시작하는 실업률 지표와, 하락세의 기울기가 줄어들었지만 천천히 하락하는 물가 지표에 올해 추가적인 금리 인상의 가능성은 점점 줄어드는 모습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