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OMC5

미국 25BP 금리인상과 FOMC 드디어 올해 첫 금리 인상과 FOMC가 발표되었습니다. 금리는 시장의 예측대로 25BP가 발표되었습니다. 반도체는 전 일 AMD의 실적 이후 장초반부터 강한 모습이었지만 ISM 제조업 관련 지표의 영향으로 다른 지수들은 약한 흐름이었습니다. 2023.02.02 - ISM 제조업 관련 지표 발표, JOLTs 지표 발표 ISM 제조업 관련 지표 발표, JOLTs 지표 발표 이번주에 가장 큰 이벤트이자 극한의 변동성을 가져다주는 지표 발표가 오늘부터 시작됩니다. 대부분의 지수는 약세를 보이며 시작됐지만,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 일 AMD의 실적발표 이후 callehero.tistory.com 하지만 이후 금리 인상발표와 파월 연준 의장의 비둘기적인 발언으로 지지부진하던 나스닥도 급등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 2023. 2. 2.
독감보다 독한 연준, FOMC 이후 연일 하락하는 증시 독감에 걸려서 삼일 내내 약 먹고 누워만 있다가 오랜만에 주식을 열어보니 제 계좌도 많이 아프네요. CPI 발표 이후 상방을 확신하며 매수하고 이후 침대에서 벗어나질 못하다가 오늘 확인하니 제 예측이 완전히 틀렸었네요. 여전히 인플레이션에 떨고있는 연준 2022년 연준의 목표는 인플레이션을 둔화 및 하락시키고자 빠른 금리인상을 했습니다. 다행히 저번 달과 이번 달 CPI 지표가 크게 하락하며 시장은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 둔화를 할 가능성이 크다며 기대 심리로 지수를 끌어올렸습니다. 하지만 과거 인플레이션이 하락하다가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여러 차례 보여줬던 이력이 있어서, 슬금슬금 고개를 드는 기대인플레이션까지 잡으려는 연준의 매파적인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최종 금리 중앙값 4.6% 에서 5.1%.. 2022. 12. 16.
CPI는 호재, 눌리는 주가, 그래도 상승을 바라봅니다 오늘 미국 CPI(소비자 물가 지수)가 예측치보다 낮게 나오며 강하게 출발한 미국 증시입니다. 하지만 내일 있을 금리인상과 FOMC의 불확실성으로 수익 실현 물량과 더불어 매도 폭탄이 터지며 결국 상승폭을 대부분 반납하며 마감하는 모습입니다. 주가의 상승을 바라보는 이유 이번 금리 인상의 시작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함이었으며, 급격하게 올라왔던 금리의 효과가 저번 지표 발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 모습입니다.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에도 연준은 우리의 우선순위는 '물가안정'이라며, 금리인상에 대한 건 내부적으로 수집하는 지표로 결정한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11월 말 파월 연준 의장은 고용 관련 연설에서 우리는 금리 인상의 속도 완화에 대해 빠르면 '12월 FOMC'부터 논의하며 올해 처음으로 비둘기적인 발언으.. 2022. 12. 14.
심한 변동성에 주의하세요(CPI, FOMC) 저번 주 PPI 발표 이후 큰 변동성을 보여준 미국 증시입니다. 장 중 계속해서 내렸다 올렸다 하며 버텨주나 했지만, 장 마감을 한 시간 남기고 이번 주에 있을 CPI와 FOMC에 대한 우려에 따른 매도 물량이 나오며 하락하는 모습이었습니다. 금요일 다우산업은 33,476.46(-0.9%), S&P500 3,934.38(-0.73%), 나스닥종합 지수는 11,004.62(-0.7%)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이번 주 미국 증시 일정 올해 마지막 달의 증시 흐름을 결정하는 일정이 몰려있는 이번 주입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 12월 13일, 22시 30분(한국시간) 미국 금리 발표 및 FOMC : 12월 15일, 04시 00분 (한국시간) 2022년 우리를 괴롭혔던 인플레이션 지표와 2023년의 금.. 2022.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