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 시황요약

소프트랜딩을 기대하는 시장

by 궈녕 2023. 1. 16.
반응형

정말 증시에는 1월 효과가 있는 걸까요, 최근 전저점부근에서 한국증시와 미국증시가 강하게 반등하는 모습입니다. 특히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우려에 대한 악재가 겹치며 하락이 컸던 기술주와 반도체 관련 주식들은 실적이 좋지 않음에도 강하게 반등해주고 있습니다.

728x90

골디락스(goldilocks)를 외치는 주식 시장

대부분의 기업이 올해 상반기 최악의 실적을 예상하며 첫 주 하락으로 시작했던 주식 시장입니다. 전저점이 깨질것으로 예상되는 하락폭은 줄어드는 노동자들의 임금률 하락과 더불어 원자재들이 안정화되며 인플레이션 관련 지표들이 꾸준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반등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주가에는 악재라고 생각했던 실업과 고용관련 지표들은 "튼튼한 실물경제"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받아들이기 시작하며, 하락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와 더불어 주식 시장에서는 호재로 받아들이는 모습입니다.

imf news
IMF 총재의 발언

IMF 총재의 발언과 더불어, 최근 뉴스에서 금리인상이 끝나간다라는 발언과 침체가 그리 깊지도 길지도 않을 거라는 낙관록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경제는 성장하고 물가상승이 없는 걸 표현하는 골디락스(goldilocks)라는 보도까지 나오는 걸 보니 확실히 주식시장의 분위기가 변화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CPI(YoY) 차트

cpi(yoy) chart
CPI(YoY) 차트

2022년 9%대까지 치솟았던 CPI 지표는 가파르게 상승했던만큼, 금리인상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꾸준하게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여전히 연준이 목표하는 2%대 까지는 멀어 보이지만 지금과 같은 하락폭이라면 올해 하반기에는 3~4%대에 안착할 가능성이 보입니다.

  • 주간 신규실업수당 신청 건수

jobless claims chart
주간 신규실업수당 신청 건수 차트

미국의 신규실업수당 신청건수는 200k~250k 사이에서 일정하게 발표되고 있습니다. 수치상으로는 코로나 직전의 2018년부터 2019년과 비슷한 수치입니다.

 

특히 작년 미국의 많은 대기업들이 금리인상시기에 비용을 줄이기위해 고용동결과 정리해고를 감행하며 실업률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지만 대부분의 해고자들은 바로 이직을 하거나 중견, 중소기업에 스카우트되며 경력의 공백을 바로 메꾸는 모습이었습니다.

  • 달러 인덱스

dollar index chart
달러 인덱스 차트

한때 120을 바라보던 달러인덱스는 100 부근으로 떨어진 모습입니다. 우리나라 증시를 괴롭혔던 강달러가 풀리며 외국인의 수급이 들어오기 시작했으며, 글로벌 기업이 많은 미국 증시에도 호재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제로코로나 방역정책 해제 이후에 달러화의 지속적인 약세와 더불어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을 위한 자금을 푼다는 소식이 들려오며 이머징마켓 증시에 선발적인 매수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오늘 미국 증시는 휴장입니다. 한국 증시는 금요일 미국 증시의 상승에 발맞춰 상승할 것으로 보이네요.

 

하락을 예상하면 상승이 나오고, 상승을 예측하면 하락이 나오는 주식 시장을보며 예측이 아니라 대응을 하라는 대가들의 명언이 떠오르는 1월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