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 시황요약

이번주 주식 시장 일정

by 궈녕 2023. 1. 17.
반응형

1월 초가 지나가면서 모든 악재를 선반영한 듯 저점에 있던 주가 가파르게 반등하는중입니다. 특히 인플레이션 관련 지표들은 꾸준하게 하락하고, 경제는 여전히 강한 모습을 보이며 '경기침체'우려라는 악재가 빠르게 희석되는 느낌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최소 한번 이상의 하락이 남아있다고 생각하지만 증시의 흐름은 주린이가 예측할 수 없는 부분이기에 그저 기다리며 시장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728x90

이번주 일정 정리

발표의 나라라고 불릴만큼 끊임없이 경제 관련 지표 일정이 잡혀있는 미국 증시입니다. 더불어 저번주부터 시작된 기업들의 22년 4분기 실적 시즌도 겹쳐서 챙겨볼게 많네요.

  • 1월 17일(화요일)
  실제 예측 이전
중국 GDP(YoY)   1.8% 3.9%
영국 실업수당청구 변동   19.8K 30.5K
독일 소비자 물가지수(YoY)   8.6% 8.6%
독일 경기기대지수   -15 -23.3

이제 막 방역정책을 끝내고 일상화에 들어가기 위해 노력하는 중국의 GDP가 발표됩니다. 이전보다 하락한 성장률을 보여주지만, 우려와는 다르게 예측치가 높은 모습입니다.

 

또한 제조업의 나라인 독일의 인플레이션 지표와 경기기대 지수가 발표됩니다. 우려되는 부분은 독일의 물가지수의 예측치가 여전히 높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1월 18일(수요일)
  실제 예측 이전
영국 소비자 물가지수(YoY)   10.5% 10.7%
유료 소비자 물가지수(YoY)   9.2% 9.2%
미국 소매판매(MoM)   -0.8% -0,6%
미국 생산자 물가지수(MoM)   -0.1% 0.3%

유럽 지역의 소비자 물가지수 지표와, 미국의 소매판매 그리고 생산자 물가지수가 몰려있는 수요일입니다. 유럽은 여전히 인플레이션을 확실하게 잡지못하고 있는 모습이지만, 미국은 인플레이션의 수치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네요.

 

다만 소매판매의 예측치도 충격이었던 전 월 대비 더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아직은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를 완전히 해소하기에는 이르다고 보여집니다.


  • 1월 19일(목요일)
  실제 예측 이전
미국 기업재고(11월)   0.4% 0.3%
미국 신규 실업수당신청 건수   213K 205K
필라델피아 제조업활동지수   -11 -13.8
넷플릭스(NFLX) 실적   EPS 0.5934 / 매출 7.84B  

같은날 미국의 건축승인건수의 발표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발표를 해석하는 법을 몰라서 제외했습니다. 11월 기업재고의 예측치는 전 월 대비 늘어난 모습이며 계속해서 재고량은 늘어날 것으로 보여집니다.

 

한 주마다 발표되는 실업수당신청 건수도 목요일에 발표됩니다. 저번주 발표에는 오히려 예측치보다 적게나오며 실물경제의 건제함을 나타내는 지표로 해석해서 주가가 상승했지만 이번에는 시장이 어떤 방향으로 받아드릴지 알 수가 없네요.

 

필라델피아 제조업 활동 지수는 조금 나아지는 모습이지만 경기가 좋다라는 '0'이상의 수치까지 가려면 한참 남았네요.


  • 1월 20일(금요일)
  실제 예측 이전
원유재고     18.962M
영국 소비판매(MoM)   0.5% 0.4%
미국 기존 주택판매(12월)   3.95M 4.09M

중국이 다시 국경을 열기 시작하면서 반등이 나오는 원유 가격입니다.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해소와 더불어 중국이 다시 돌아가기 시작하며 수요가 늘어날 것을 예상하며 반등하는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원유재고는 증시에 큰 영향을 보이지 않았습니다만, 문제는 과거 여러번 원유의 가격이 가파르게 반등하며 인플레이션도 다시 고개를 드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지표 발표이후 시장의 분위기를 살펴봐야 할 듯 합니다.

 

이번주도 쉽지않은 일정들이 잡혀있습니다. 그리고 다가오는 FOMC와 연설 그리고 미국 주요기업들의 실적 발표 날짜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반등의 힘은 매섭지만 언제 또 하락이 시작될지 모르는 불안함이 계속해서 남아있네요.

 

이번주도 다들 살아남는 투자하세요!

2023.01.16 - 소프트랜딩을 기대하는 시장

 

소프트랜딩을 기대하는 시장

정말 증시에는 1월 효과가 있는 걸까요, 최근 전저점부근에서 한국증시와 미국증시가 강하게 반등하는 모습입니다. 특히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우려에 대한 악재가 겹치며 하락이 컸던 기술주와

callehero.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