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pi4

생산자 물가지수(PPI) 발표 노랜딩(NO-LANDING)과 골디락스를 외치며 기대감으로 상승하던 미국 증시가 오늘 생산자 물가지수와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건수 지표 발표 이후 장 전부터 하락하며 제동이 걸리는 모습입니다. 2023.02.14 - 미국 CPI(소비자 물가 지수) 발표 미국 CPI(소비자 물가 지수) 발표 한동안 희망회로와 올해 금리 동결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했던 미국 증시입니다. 하지만 CPI 지표가 예상치를 상회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기대감에 상승하던 증시에 찬물을 끼얹으며 상승동력 callehero.tistory.com 이미 소비자 물가지수(CPI)로 인플레이션의 끈적함을 느낀 시장은 생산자 물가지수(PPI)도 다시 재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끝나지않은 인플레이션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연준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의 가.. 2023. 2. 17.
미국 PPI(생산자 물가지수)발표 오늘 생산자 물가지수와 미국의 소매판매 지표가 나오며 혼조새를 보이는 미국 증시입니다. PPI(생산자 물가지수)는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며 인플레이션이 꺾이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소매판매도 같이 꺾이며 경기침체의 가능성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PPI(생산자 물가지수) 발표 실제 예측 이전 PPI(YoY)(12월) 6.2% 6.8% 7.3% PPI(MoM)(12월) -0.5% -0.1% 0.2% Core PPI(YoY)(12월) 5.5% 5.7% 6.2% Core PPI(MoM)(12월) 0.1% 0.1% 0.2% 이제 주식 시장은 인플레이션 하락에 대한 반응이 미지근한 모습입니다. 작년에 이와 비슷한 하락률을 보이면 하루에 3~5% 상승이 나오는 시장이었지만, 이제는 약간의 반등만 보여주는 모습입니다.. 2023. 1. 19.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흔들리는 미국 증시 2022년 마지막 달에 남아있는 가장 큰 3개의 이벤트 중 하나인 미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장전에 발표됐습니다. 예상치보다 높게 나오는 모습에 하락 출발했지만, 증시는 위와 아래를 반복하며 변동성만 큰 모습을 보여줍니다. 생산자물가지수(PPI) 지표 발표 실제 예측 전 월 PPI(YoY) 7.4% 7.2% 8.1% PPI(MoM) 0.3% 0.2% 0.3% Core PPI(YoY) 6.2% 5.9% 6.8% Core PPI(MoM) 0.4% 0.2% 0.1% 모든 PPI 지표는 '예측치'보다 높게 나오며 미국 증시는 하락 출발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인 추세는 어느 정도 꺾이는 모습입니다. Core PPI(MoM)를 제외하고는 전 달 대비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다만 이번 예측치를 너무 타이트.. 2022. 12. 10.
호재와 함께 시작한 미국 증시 이쯤이면 그만 한 번쯤 눌렀다 가야 하는 거 아니야?라는 의문이 드는, 최근 급격한 상승을 보이는 미국 증시입니다. 어제 미국 증시는 장 전 PPI(미국 생산자 물가지수) 발표가 예상치에 하회하며 강세를 보이며 출발한 미국 증시는 다우 종합지수 33,594.17(+0.17%), S&P 500 3,991.73(+0.87%), 나스닥 종합 지수 11,358.41(+1.45%)로 상승 마감했습니다. 점점 커지는 연준(FED)의 피벗(PIVOT) 가능성 지난 CPI(소비자 물가 지수) 발표 이후 오늘 장 전 PPI(미국 생산자 물가지수) 발표가 있었습니다. PPI(YoY) 실제 예측 8.0% 8.3% PPI(MoM) 0.2% 0.4% Core PPI(YoY) 6.7% 7.2% Core PPI(MoM) 0.0% .. 2022.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