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의 경제지표 시작은 ISM 제조업 지수가 발표되며, 하락 출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미국 증시입니다. 특히 주말 동안 테슬라의 인도량이 월가의 예상치를 하회했고 OPEC의 원유생산 감산 소식이 들려오며 사작부터 증시의 흐름은 불안 불안합니다.
2023.04.03 - 3월 주식 실현손익, 4월 시나리오
3월 주식 실현손익, 4월 시나리오
변동성이 컸던 한 달이었습니다. 특히 미국 중소형은행들의 현금 유동성 악화와 뱅크런 사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흔들렸던 증시였습니다. 하지만 이미 리먼 사태를 경험한 미국 정부의 발 빠
callehero.tistory.com
- ISM 제조업 지수
실제 | 예상 | 이전 | |
ISM 제조업 구매자지수 | 46.3 | 47.5 | 47.7 |
ISM 제조업 고용지수 | 46.9 | 50.0 | 49.1 |
ISM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 | 49.2 | 49.3 | 47.3 |
ISM 제조업 물가지수 | 49.2 | 51.2 | 51.3 |
ISM 제조업 신규주문지수 | 44.3 | 49.0 | 47.0 |
ISM 제조업 지수 대부분이 예상치를 하회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중소형 은행발 침체에 대한 우려를 벗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다시 침체에 불안함이 올라오는 시장 분위기입니다.
장초반 시장은 ISM 제조업 지수들이 예상치보다 하락하며 역설적으로 연준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시장은 장초반 보합권까지 올라온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원유가격을 중심으로 에너지 기업들이 상승하며 반대로 기술주들의 약세가 이어지는 모습입니다.
- FED watch
중소형 은행들의 현금유동성 악화로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어렵다고 판단했던 시장은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들의 가격 상승을 근거로 다시 25BP 이상의 금리 인상 가능성에 점치는 모습입니다.
- WTI유
침체에 대한 우려로 $70 아래로 빠졌던 WTI유 가격은 다시 80달러를 회복하며,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는 모습입니다. 주말 동안 OPEC+의 감산 소식과 6월 OPEC+ 회의 전까지 추가적인 감산 가능성이 높아지며 지난 상반기에 보여주었던 증시는 하락하고 에너지 섹터만 강세를 보이는 흐름이 나올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주요 시황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농업 부문 고용 변화, ISM 비제조업 관련 지표 발표 (0) | 2023.04.06 |
---|---|
JOLTs 보고서 (구인, 이직) 발표 (0) | 2023.04.05 |
개인 소비지출 물가지수(PCE) 발표 (0) | 2023.04.01 |
마이크론(MU) 실적발표, 바닥 찍은 반도체? (2) | 2023.03.29 |
제조업, 서비스 구매자 관리지수 (PMI) (0) | 2023.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