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s Kashkari의 매파적인 발언으로 하락 출발한 미국 증시입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일 엔비디아(NVDA)의 대규모 오퍼링 소식이 나오며 크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오히려 나스닥보다 강한 모습을 보여주며 주도주의 위용을 보여줍니다.
ISM 제조업 관련 지표 발표
실제 | 예측 | 이전 | |
제조업 고용 지수 | 49.1 | 50.6 | |
제조업 신규주문지수 | 47.0 | 42.5 | |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 47.7 | 48.0 | 47.4 |
제조업 물가지수 | 51.3 | 45.1 | 44.5 |
고용은 이전 지표보다 낮은 49.1, 신규주문은 이전보다 높은 47.0이 발표됐습니다. 다만 구매관리자 지수(PMI)는 예측치를 하회하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추가적으로 실물경제는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물가지수가 예측치인 45.1을 상회하는 51.3이 나오며 인플레이션 재상승에 대한 우려로 주가가 크게 흔들리는 모습입니다.
이를 반영하듯 미국 채권 수익률이 재급등하며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4%를 넘어가며, 채권 시장은 추가적인 금리 인상에 대해 반영하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원유재고 발표

원유재고는 예측치인 0.457M를 상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이전 수치대비 크게 하락했으며 증류유, 가솔린의 생산량은 이전보다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장중 정유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강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시장의 분위기가 조금씩 바뀌는 모습입니다. 특히 채권 시장과 달러 인덱스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습니다. 미국 증시는 이슈 되고 있는 0dte(일일옵션)때문에 지지선 부근에서 변동성을 키워가며 버티는 모습이지만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4%가 넘어가며 마무리되면 한동안 충격이 오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주요 시황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M 비제조업 관련 지표 발표 (0) | 2023.03.04 |
---|---|
미국 실업수당청구건수 발표 (0) | 2023.03.02 |
미국 주택가격지수, CB 소비자 신뢰지수 발표 (0) | 2023.03.01 |
미국 PCE(개인소비지출 물가 지수)지표 발표 (0) | 2023.02.24 |
한국중앙 은행 금리 동결 (2) | 2023.02.23 |
댓글